문화재수리기능자 화공

Cultural Property Repair Functionalist


Ⅰ 문화재수리기능자 화공 - 단청 (주말반) Ⅰ



문화재수리기능자 [화공] 대비반입니다.

문화재수리기능자 자격증 취득을 위한 준비과정으로 해당고사에 필요한

이론 지식 습득과 실기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.


단청의 종류와 출초 기법부터 나아가 단청의 실무를 이해하고 숙달하게 된다.

본 수업의 과정은 머리초, 기타부재, 별화로 구성되어 있으며 

각 부재에 맞게 알맞은 단청문양을 고사기준에 맞추어 그려본다

강 좌 명
문화재수리기능자 화공 - 단청 (주말반) Ⅰ Cultural Property Repair Functionalist
강 사 명
김 정 현
시 간
일요일 / 오전 10시 - 오후 1시
 장 소 
무우수아카데미 8층



수업목표


단청의 기법과 종류를 이해한다.

단청의 출초기법을 이해하고 숙달한다.

단청의 실무를 이해하고 숙달한다.



수업내용


단청의 기법 이해 / 실습과 습득

문화재수리기능자 (화공) 고사 대비





강사  │김 정 현


 - 동국대학교 예술학부 미술학과 불교미술전공 졸업

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 불교미술전공 박사과정

- 현원회화문화재연구소 대표

- 문화재수리기술자(단청) 제 956호

-국가 무형문화재 제 118호 불화장이수자

-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 교육원

- 단청심화 (별화반)  객원교수 재직


수업 목표

-불교회화의 다양한 바탕재료와 각종 안료를 다룰수 있다

고려불화와 조선불화 모두를 습득한다.

-불교회화를 전통기법으로 제작한다.


수업내용

불교회화의 전반적인 이론수업 

채색을 조색할수 있는 실습 

모사를 통한 불화의 전통적인 기법 실습




│  커리큘럼  │ 


수업개요 / 이론 - 단청 일반 이론, 수강생 면담

머리초의 이해 - 출초 실기, 채색 실기, 먹기화/시분/긋기 실기

문화재수리기능자(화공)고사 대비 특강 - 출초 실기, 채색 실기, 먹기화/시분/긋기 실기

모의고사 및 평가

총정리 - 시험 대비 총정리




* 진행과정의 순서는 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.

* 해당 강좌는 상시 수강신청 가능한 상설강좌이며, 정원 초과일 시 대기해주셔야합니다.